- 울산, 왜 ‘수소도시’로 주목받나?
- 정책·경제 논란: 수소 인프라 투자와 현실적 과제
- 산업·투자 파급 효과와 미래 전략
1. 울산, 왜 ‘수소도시’로 주목받나?
울산은 이미 대한민국 수소 산업의 중심지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어요. 국내 수소 생산량의 50% 이상이 울산에서 나올 정도로, 대규모 석유화학 단지와 연계된 수소 생산·공급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최근 울산시는 단순히 ‘생산 도시’를 넘어 수소 기반 생활 인프라를 구축하는 ‘수소도시 조성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고 있죠.
대표적인 예가 수소차·수소택시·수소트램 도입입니다. 이미 현대차의 수소전기차 ‘넥쏘’가 울산 택시 시장에 투입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수소택시를 1,000대 이상 보급하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또한 수소전기 트램은 2027년 개통을 목표로 실증사업이 진행 중이고, 시내 주요 노선을 달리게 될 예정이에요. 이와 함께 2035년까지 울산 전역에 수소충전소 50곳 이상을 구축하는 계획이 세워져 있어, 시민들이 수소차를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중입니다.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세계적 흐름도 울산의 이런 변화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선 전체 에너지 소비의 약 12%를 수소로 대체해야 한다고 해요. 이런 상황에서 울산이 보여주는 모델은 ‘탄소중립형 산업 도시’로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정책·경제 논란: 수소 인프라 투자와 현실적 과제
울산시의 수소도시 전략은 중앙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과 맞물려 있습니다. 정부는 2040년까지 수소차 620만대, 수소충전소 1,200개를 보급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고, 울산은 그 핵심 거점 중 하나로 지정됐죠. 하지만 인프라 구축에는 막대한 예산이 필요합니다. 수소충전소 1곳당 설치비만 약 30억~40억 원, 트램 한 대당 제작 비용이 약 50억 원 이상이어서, 재정 부담이 크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또한 수소 생산 과정에서의 친환경성 논란도 있습니다. 현재 울산에서 생산되는 수소는 대부분 부생수소(석유화학 공정 부산물)인데, 이는 생산 과정에서 탄소가 배출됩니다. 따라서 ‘그린 수소’(재생에너지 전기 분해로 생산)로의 전환이 필수지만, 그린 수소 생산 단가는 현재 kg당 6,000~8,000원으로, 부생수소보다 2~3배 비싸서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어요.
여기에 수소차 보급 확대를 위해선 충전 속도, 안전성, 유지관리 체계 등 기술적 과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 수소차의 효율 저하, 겨울철 극한 온도에서의 성능 안정성 문제는 소비자 신뢰와 직결되는 요소죠. 이런 이유로 일부 시민단체는 “대규모 예산 투입 전에 안전 기준과 수소 공급망의 친환경성을 먼저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습니다.
3. 산업·투자 파급 효과와 미래 전략
수소도시 울산의 가장 큰 가치는 지역 산업 구조 전환에 있습니다. 조선·자동차·석유화학 중심의 울산 산업 생태계가 수소 관련 부품·설비·모빌리티 산업으로 확장되면서, 새로운 일자리와 수출 품목이 늘어날 수 있죠. 예를 들어, 수소 연료전지 부품 생산, 수소 운송용 특수탱크 제작, 수소 관련 안전 검사 장비 산업 등이 울산에서 성장할 가능성이 큽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관련 상장사·ETF·인프라 펀드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내에선 수소연료전지 ETF, 해외에선 미국의 ‘Global X Hydrogen ETF’ 같은 종목이 수소 경제 확산 기대감에 따라 거래량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다만, 기술 성숙도와 글로벌 경기 상황, 정부 정책 방향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분산 투자 전략이 필요합니다.
울산은 2035년까지 수소차·수소트램·수소선박을 동시에 운행하는 세계 최초의 ‘통합 수소 교통 도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모델이 성공한다면, 국내 다른 산업도시뿐 아니라 동남아·중동 등 해외 신흥국에도 수출 가능한 도시 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결국 울산의 도전은 단순한 ‘에너지 전환’이 아니라, 도시 브랜드와 산업 경쟁력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시도인 셈입니다.
- 정책 지속성: 정권 교체 시 수소 정책이 유지될 가능성
- 기술 성숙도: 그린 수소·연료전지 기술 상용화 속도
- 인프라 보급률: 충전소·차량·대중교통 도입 현황
- 글로벌 수소 가격 변동 및 수입 의존도